독일 정부는 COP27 의장국인 이집트와 공동으로 “제13차 피터스버그 기후대화8)”를 개최했다. 7.17~7.19 3일 간,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이번 회의에는 약 40개국의 고위급 대표들이 참석하였다.
참가국 대표들은 이번 COP27의 핵심 의제인 ①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전환, ②적응 및 손실과 피해, ③기후 재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동 회의를 공동 주재한 안날레나 베어복 독일 외무 장관은 연간 기후 재원 1천억 달러 조성 목표9)를 2023년까지는 이행하기 위해, 2019년 기후 재원 총 조성액 대비 2배 증액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또한 독일이 러시아 사태로 촉발된 에너지 위기 대응을 위해 석탄 화력발전소를 비상 가동할 수밖에 없었음을 언급하면서, 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를 위해 ‘자유의 에너지(freedom energy)’인 재생에너지로 전환10)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안토니오 구테헤스 유엔 사무총장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COP27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는 △COP27에서 현재 진행 중인 재생에너지 혁명 입증, △향후 5년 내 보편적 조기경보시스템 보장 및 연간 적응 지원 재원 2배 확대(4백억 달러), △연간 기후 재원 조성 목표인 1천억 달러 달성을 위한 시한 및 일정 설정, △손실과 피해를 다자 기후 절차에 편입하여 대응(재정 지원 포함)해야 함을 강조했다.
한편, 올해 주요 7개국(G7) 의장국이기도 한 독일은 기후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글로벌 보호막(Global Shield)’ 도입을 제안했다. 올 6월 개최된 G7 정상회의에서 처음 공개된 ‘글로벌 보호막’의 개념은 하나의 지붕 아래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도국 지원을 위한 기후위험재정 및 준비 프로그램 등의 활동을 집결시키자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후위험 대비를 위한 재정 확대, △기후 탄력성 및 대응력 제고, △기후 관련 피해의 신속한 해결책 개발을 도모할 예정이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에 취약한 국가의 조기 경보 및 보호 체계‧보험제도 지원 등을 구상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손실과 피해 보상을 위한 추가 재원 조성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이에 대한 세부 사항은 COP27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기후변화 동향 > 해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기후변화동향(베트남, 뉴질랜드, 켈리포니아주, 영국, 이집트) (1) | 2022.09.29 |
---|---|
기후기술센터 및 네트워크, 첫 협력연락사무소를 대한민국에 개소 (1) | 2022.09.15 |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 비용 하락 (0) | 2022.09.14 |
미국, 폭염 대응 및 해상풍력 투자 확대를 위한 행정조치 발표/파리협정 제6.4조 메커니즘 감독기구 회의열려! (1) | 2022.09.13 |
인도,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0) |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