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192

해외기후변화대응 동향(브라질, 호주, 노르웨이)

브라질 룰라 대통령, 아마존 기금 10억 달러 복원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신임대통령은 아마존의 산림벌채를 통제하고 브라질 환경기관을 재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7개의 행정명령 패키지 에 서명했다. 패키지의 일환으로 3년간 중단되었던 10억 달러(약 1조 2천억 원)의 아마존 기금을 복원 했다. 아마존 기금은 102 개의 아마존 보존 프로젝트를 지원하며, 농촌 토지 소유권을 추적하는 농촌환경등록부 담당 부처를 농업부에서 환경부로 옮기고, 환경부담금을 완화할 가능성을 없앴으며, 아마존 삼림벌채를 예방하고 통제하기 위한 계획을 다시 활성화했다. 룰라 대통령은 취임사를 통해 “브라질은 숲을 베어낼 필요가 없다”며, “아마존 삼림벌채 제로와 재생가능전력 100% 달성”을 약속했다. 한편, 올라프..

카테고리 없음 2023.03.21

세계 경제 포럼의 지구위험 보고서

기후변화, 7년 연속 인류에 가장 위협적인 요인으로 꼽혀 세계경제포럼(WEF )의 ‘지구위험보고서(Global Risks Report 2023)’에 따르면, 기후 행동의 실패가 향후 10년 간 인류에게 닥칠 가장 큰 위협이라고 한다. 동 보고서는 매년 다보스 포럼에 앞서 발표되는 연례 보고서로, 단·장기적으로 지구의 위기가 될 수 있는 경제·환경·사회·지정학·기술적 위험의 발생 가능성에 대해 민간‧정부‧학계 시민사회 전문가의 설문결과(최신 지구 위험 인식 조사)로 작성된다. 올해 보고서는 약 1,200명 이상의 전 세계 각 분야 전문가의 응답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올해 최초로 별도 위험으로 분리된 ‘기후변화 감축 실패’와 ‘기후변화 적응 실패’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위험 1위를 차지했고, ..

기후환경 요금 이란?

기후환경요금 기후환경요금은 기후·환경 관련 비용에 대한 원가 구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자 2021년부터 별도로 분리 고지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 촉진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인해 2023년부터 기후환경요금 단가가 도입 초기대비 70%가량 인상되었다. 기후환경요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음 기후환경요금 구성 1. 신재생 에너지 의무공급제도 이행 비용(RPS 비용)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에 따라, 공급의무자(500MW 이상의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의무이행을 위해 지출한 비용에 대해 전기판매사업자가 지급한 금액 2. 배출권거래제도 이행비용 (ETS 비용)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전사업자가 탄소배출 감축의무를 이행하..

해외배출권 거래 현황

해외 배출권 거래 현황 선물시장(EUA Futures DEC 22 & DEC 23) – ICE 거래소 기준 현물시장(EEX EUA Spot) – EEX 거래소 기준 경매시장(EUA Primary Auction Spot) – EEX 거래소 기준 유럽 배출권거래제 EUA(’22 DEC)는 ’22년 12월 19일에 마감되었으며 ’23년 1월 EUA (’23 DEC) 가격은 지난 12월 종가 대비 10.6%(약 €8.90, 11,862원) 상승하였고 EUA선물 거래량은 24.98% 증가하였다. 이는 추운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휘발유 가격이 상승하였고, 독일의 풍력 발전이 계절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면서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국가단위 통합 탄소배출권 중국 국가단위 통합 탄소배출..

탄소배출권 가격 정보(2023년 01월01일~2023년 01월31일)

지표배출권 KAU22 거래 현황(종가기준 : 당월-1월31일, 전월 12월 31일) 국내 배출권 종목별 거래 현황(종가기준 : 당월-1월31일, 전월 12월 31일) 배출권 경매 현황 KAU22~KAU25 부문별 장내거래 현황 KAU22 업종별 장내거래 현황 국내 배출권(KAU) 장내 평균가격 현황 국내 배출권(KAU) 장내 평균가격 현황 국내 배출권(KAU, KCU, KOC) 누적 거래현황

이동연소(항공) 배출량 산정 방법론

이동연소(항공) 배출량 산정 방법론 매개변수별 관리기준 - 활동자료 산정등급 항공 Tier 1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사업자 또는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연료사용량 자료를 사용 Tier 2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사업자 또는 연료공급자에 의해 측정된 연료사용량, 이착륙 횟수 자료 등을 사용 -배출계수 배출량 산정 예시 한국항공사는 국내외를 운항하는 여객기를 보유하고 있다. 그 중 이 ․ 착륙을 국내에서 하는 여객기의 연간 항공용 가솔린의 사용량은 20kL이다. 한국항공사가 보유하고 있는 여객기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 배출량 산정식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본 가이드라인 4장 배출활동별 산정방법론 참고 STEP 1 : 보고대상 배출시설 한국항공사의 보고대상 배출시설은 “..

고정연소(액체연료) 배출량 산정방법론

고정연소(액체연료) 배출량 산정 방법론 매개변수별 관리기준 - 활동자료 산정등급 액체연료 Tier 1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연료사용량 자료를 활용한다. Tier 2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연료사용량 자료를 활용한다. Tier 3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연료사용량 자료를 활용한다. Tier 4 연속측정방법(CEM)을 사용한다. - 열량계수 산정등급 액체연료 Tier 1 [별표 11]에 따른 IPCC 가이드라인 기본 발열량 값을 사용한다. Tier 2 [별표 12]에 따른 국가 고유 발열량 값을 사용한다. 단,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 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한다. Tier 3 제16조에 따라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개발하거나 연료공급자가 분석하여 제공한 발열량..

고정연소(기체연료) 배출량 산정방법론

배출량 산정 방법론 [유의사항] 고정연소(기체연료) 중 바이오가스(메탄)의 연료사용량에 대한 배출량 산정을 위해 소화가스(Nm3)를 바이오가스 (메탄)(ton)으로의 환산 - 고정연소(기체연료)의 연료사용량 단위적용은 아래와 같음 - 사업장에서 소화가스는 부피단위(Nm3)로 측정하고 있으므로 바이오가스(메탄)의 함량을 적용하여 바이오가스(메탄) 사용량을 무게단위(ton)로 환산해야 함. 따라서 소화가스 중 바이오가스(메탄)의 함량을 측정할 필요가 있음.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이오가스(메탄)의 발열량 단위는 TJ/Gg이므로 활동자료의 단위환산을 위해 지침 [별표 6] 34. 하 ․ 폐수 처리시설에서 제시된 CH4의 밀도를 적용함 - 소화가스의 부피단위에서 바이오가스(메탄)의 무게단위로 환산하는 방법은 ..

고정연소(고체연료) 배출량 산정방법론

배출량 산정 방법론 매개변수별 관리기준 - 활동자료 산정등급 고체연료, 액체연료, 기체연료 Tier 1 측정불확도 ±7.5% 이내의 연료사용량 자료를 활용한다. Tier 2 측정불확도 ±5.0% 이내의 연료사용량 자료를 활용한다. Tier 3 측정불확도 ±2.5% 이내의 연료사용량 자료를 활용한다. Tier 4 연속측정방법(CEM)을 사용한다. - 열량계수 산정등급 고체연료, 액체연료, 기체연료 Tier 1 [별표 11]에 따른 IPCC 가이드라인 기본 발열량 값을 사용한다 Tier 2 [별표 12]에 따른 국가 고유 발열량 값을 사용한다. 단,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별도의 계수를 공표 하여 지침에 수록된 경우 그 값을 적용한다. Tier 3 제16조에 따라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개발하거나 연료공급자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