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공동성명 서명, 전기차 생태계·신수도 친환경 상수도 기반시설 구축 공동 노력
-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11월 14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바수키 하디물요노 인도네시아 공공사업주택부 장관과 양자회의를 갖고 한-인니 주도의 다자간 협력 플랫폼인 '녹색전환 이니셔티브(Green Transition Initiative, GTI)'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 녹색전환 이니셔티브는 지난 7월 한-인니 정상회담 시 방한한 바수키 장관이 양국 주도의 탄소중립 국제협력 플랫폼 구축을 제안한 이후 실무협의를 거쳐 내용을 구체화하여 이번 '주요 20개국(G20)' 및 'B20 서밋 인도네시아 2022' 정상회의를 계기로 체결하게 되었다.
- 양국은 양자회의에서 녹색전환 이니셔티브의 공동성명을 체결하면서 자원 및 폐기물 관리, 재생에너지, 그린시티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친환경 기반시설(그린 인프라)' 관련 개발협력 사업들을 패키지화·대형화하여 녹색전환 이니셔티브의 대표(브랜드) 사업을 만들어 가기로 합의했다.
- 또한, 한-인니 협력사업으로 추진중인 △인도네시아 발리 전기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기자동차 및 충전인프라 보급 시범사업, △ 누산따라 신수도 이전 관련 탄소중립형 상수도 건설 협력사업을 성공모델로 만들기 위해 적극 협력하고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선도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 인도네시아 정부는 2035년까지 총 자동차 판매량 중 전기차의 비중을 30%로 확대할 이행계획(로드맵)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내년부터 그린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하여 인도네시아의 전기차 생태계 구축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또한 내년부터 추진하는 '누산따라 신수도 탄소중립형 상수도시설 시범사업'을 계기로 인도네시아의 물관리 정책과 연계한 새로운 협력사업을 지속 발굴하여 더욱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 앞으로 환경부는 녹색전환 이니셔티브를 국제사회의 기후행동을 가속화 하기 위한 모범적인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한편,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플랫폼을 통해 우리 기업이 인도네시아 등 신흥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 한화진 장관은 "양국 주도의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출범은 지난 9월 윤석열 대통령이 유엔 총회 연설에서 밝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그린공적개발원조(ODA) 확대와 혁신적 녹색기술 지원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 차원에서 추진되는 것"이라며,
- "아태지역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민관의 투자를 장려하고 프로젝트 기반의 기후변화 대응사업 확대를 도모하는 등 양국간 협력의 범위와 깊이를 심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녹색전환 이니셔티브 개요
1. 추진 배경
◦ 인도네시아 공공사업주택부 측에서 탄소중립 플랫폼 논의 요청, G20 연계 녹색전환 이니셔티브(GTI) 공동 발의 추진
* Green Transition Initiative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한-인니 중심의 다자간 협력 플랫폼
- (’22. 9. 21) 윤석열 대통령 제77차 UN총회 기조연설 中 기후변화 대응 기여 방안으로 그린ODA의 확대, 개발도상국에 대한 저탄소 에너지 전환 지원 등 공표
- (’22. 7. 25) 조코 위도도 대통령 방한(‘22. 7. 28, 양국 정상회의) 계기, 한-인니 장관 회의시 인니측에서 탄소중립 플랫폼 구축 설립 제안
- (’22.10. 27) 인니(공공사업주택부) 장관 명의 서한을 통해, G20 정상회의 계기 양국 장관회의 제안
2. 녹색전환 이니셔티브(GTI)
◦ 핵심주제
1) 그린분야 국제개발 협력 확대(그린 ODA 확대)
2) 국제 감축 사업 확대를 위한 파트너쉽 체결(국제감축사업 확대)
3) 기후회복력 제고를 위한 글로벌 연대 구축(글로벌 아젠다 선도)
반응형
◦ 참여주체
1) 참여국가 : 아시아 중심에서 선진공여국 확대
2) 국제기구 : UN 기구, 기후대응 국제기구, MDB 등
3) 학계연구기관 : KEI, KDI, 국제수환경공학회 등
◦ 추진절차
1) 탄소중립 실행 아젠다 도출
2) 탄소중립 프로젝트 개발
3) 사업펀딩 및 사업 개발
3. 기대효과
◦ 그린 ODA 사업 확대를 통한 NDC 국제감축사업 연계 강화
→ 2030년까지 국제감축목표 33.5백만톤 달성 기여

※ 융합형 국제개발협력 우수사례

728x90
반응형
'기후변화 동향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 적응대책, 실행계획으로 개편 (18) | 2022.12.05 |
---|---|
수소경제위원회-수소산업 본격성장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11) | 2022.12.04 |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 보고/항공부문 온실가스 감축방안 (17) | 2022.12.02 |
온실가스 국제 감축사업 추진 전략 (23) | 2022.11.01 |
기후변화영향평가 (28) | 2022.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