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동향/국내

K-ESG 정보공시 작성방법 평가 방법(정보공시 내용 및 검증)

기후변화대응 전문 컨설턴트 2022. 12. 15. 11:10
728x90
반응형
ESG 핵심이슈 및 KPI 성과 점검 및 점검기준
- 분류 번호 P-2-1
- 영역 : 정보공시
- 범주 : 정보공시 내용

 

추가 설명

 

• 조직의 중요한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반영하는 측면 또는 이해관계자들의 평가와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보고서에서 다룰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러한 이슈의 중대성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중대성 평가(Materiality Test)’가 있으며, 중대 측면을 정의하는 데 있어 조직이 참작해야 할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 지속가능성에 영향, 위험, 기회 요소가 될 수 있는 항목(ex. 지구 온난화, 공급망 불안, 다양성 훼손, 사회적 불평등 등) 중 합리적 평가가 가능하고, 전문가나 해당 분야에 자격을 갖춘 전문 기관의 충분한 조사를 거친 주제
- 이해관계자(지역사회 내 취약계층, 시민사회 등)가 제기한 주요 지속가능성 관심사항 및 토픽
- 동종업계 및 경쟁사에 의해 보고된 산업 내 주요 토픽 및 미래 도전 과제
- 관련 법률, 규정, 국제 협약 또는 조직과 그 이해관계자들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자발적 협약
- 조직의 핵심가치, 정책, 전략, 운영관리시스템, 목표 및 목적
- 조직의 성공 및 재무적으로 연관된 이해관계자(근로자, 주주 및 공급업체)의 기대와 관심사항
- 조직의 중요 위험 사항
- 조직의 성공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 조직의 핵심역량 및 그 핵심역량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방법

• 기업은 지속가능경영을 달성하기 위해 정량적, 정성적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정량적 목표와 정성적 목표는 그 자체로 어느 것이 우위에 있다고 판단할 수 없다. 기업은 처한 상황에 따라 명시적으로 정량적 목표를 설정하고 전략 및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존재한다.

• 본 항목에서는 조직이 선언적으로 정량, 정성 목표를 제시하는가보다는 지속가능경영을 달성하기 위해 중대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핵심 이슈를 어떻게 인식하고, 개선을 위해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는지에 대해 점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ESG 정보공시 검증의 성과검증 및 점검기준

 

 

- 분류 번호 P-3-1
- 영역 : 정보공시 
- 범주 : 정보공시 검증

 

추가 설명

• 조직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등 ESG 정보공시 지표 및 기준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ESG 정보가 갖추어야 할 신뢰성을 강제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ESG 정보 검증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직의 의지이자 자율적 활동으로 조직이 공시하는 ESG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 ESG 정보 검증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준은 ‘검증기관의 적격성’, ‘검증기관과의 독립성’, ‘검증방법론의 합리성’, ‘검증수준의 명확성’, ‘검증지표의 구체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글로벌 시장에서 통용되는 ESG 검증표준에는 1) 지속가능경영 관련 국제표준 제정기관인 AccountAbility가 개발한 AA1000AS(2018), 2) 국제감사인증기준위원회인 IAASB가 개발한 ISAE3000이 있다. 이외에도, 국내외 ESG 정보 검/인증기관 등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증표준이 있다. ESG 정보를 검증하는 제3자 기관이 사용해야 할 검증표준이 설정된 것은 아니나, 제3자 검증기관은 합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검증을 수행해야 하며, 검증을 받는 조직도 글로벌 검증표준 등에 부합하여 ESG 정보가 검증되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 AccountAbility는 우수한 검증 능력 및 경험을 갖추고 있는 제3자 기관에게 License Number를 발행하고 있으며, 해당 License Number를 보유한 기관은 AA1000AS 검증표준 또는 이에 준하는 검증표준에 따라 검증업무를 수행함

 

반응형

• ESG 정보 검증수준을 나타내는 Type1/Type2, Moderate/High에 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1) Type1 검증

- 조직이 운영하는 시스템에서 산출한 데이터가 신뢰할만하다는 가정 하에, 해당 데이터가 대외공시 정보로 충분히 반영되었는지 검증(데이터 자체 신뢰성은 미검증)

2) Type2 검증

- 조직이 운영하는 시스템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관리하고 있는지, 조직이 산출한 데이터값과 실제 데이터가 일치하는지를 검증(데이터 자체 신뢰성과, 대외공시 정보 반영 여부를 검증)

3) 중위수준(Moderate Assurance)

- 조직 내에서 취합 및 관리되는 데이터 기반의 검증. 데이터의 범위 및 샘플링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검증으로, 해당 정보만을 공개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초점을 둠

4) 고위수준(High Assurance)

- 조직 내에서 취합 및 관리되는 데이터와 함께, 조직 외부에서 취합되는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진행되는 검증. 데이터의 범위 및 샘플링이 방대하여 정보공시 신뢰성이 높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