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동향/국내

ESG의 개념 및 논의 사항

기후변화대응 전문 컨설턴트 2022. 12. 10. 06:07
728x90
반응형
ESG의 개념 및 중요성

1. 개념

  • (개념)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 경영 활동을 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 건전하고 투명한 지배구조에 초점을 둔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을 달성하기 위한 기업 경영의 3가지 핵심요소를 의미

   - * 지속가능성은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미래 세대가 사용할 경제·사회·환경 등의 자원을 낭비하거나 여건을 저하(低下) 시키지 아니하고 서로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지속가능발전법」2020.5.26. 제정)

   - (환경: Environment) 기업의 경영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 전반을 포괄하는 요소들이 포함되며,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된 탄소중립, 재생에너지 사용 등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

   - (사회: Social) 임직원, 고객, 협력회사,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 대한 기업의 권리와 의무, 책임 등의 요소가 포함되고, 최근 인권, 안전·보건 등에 대한 이슈가 화두 

   - (지배구조: Governance) 회사의 경영진과 이사회, 주주 및 회사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권리와 책임에 대한 영역으로 이사회의 다양성, 임원 급여, 윤리경영 및 감사기구 등이 강조

 

  • (중요성) 최근 ESG는 전 세계적인 트랜드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소비자, 투자자, 정부 등 모든 사회구성원의 관심이 고조되면서 선택이 아닌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핵심적인 요소로 부상

   - (기업목적 측면) ESG는 미래사회에서 기업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사회적 가치로 기업의 목적에 내재화 되어야 하는 필수적 요소
   - (자본조달 측면) ESG가 다양한 분야의 투자자들의 핵심 가치로 부각되는 시점에서 기업의 자본조달 측면에서 ESG는 필수적 관리 요소
   - (지속가능 측면) 지속가능성의 포괄적인 개념 하에서 발전한 ESG 요소들은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리스크 관리 수단으로 필수적

 

 


2. ESG 논의의 확산과 발전

  • (등장 배경) ESG의 개념을 포함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1987년 UNEP(유엔환경계획)와 
    WCED(세계환경개발위원회)가 공동으로 채택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
    (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 에서 제시됨 

   - 보고서에서는 인류가 빈곤과 인구증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환경 파괴등의 위기에서 경제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 제시

 

  • (ESG 논의 확산) 지속가능성 논의 이후, ESG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이 고조되고, 연기금 등의 책임 투자 논의 활성화, 정부 단위의 ESG 제도화, 민간 분야의 적극적인 ESG 활성화 논의로 확대

   - (ESG 제도화) 국가 단위의 ESG 법안 마련 추진, ESG 관련 기업의 정보공개* 등의 제도화 논의가 확산되고 있음 
* UN PRI(Principle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 발표(‘06) 및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태스크포스(TCFD)의 재무정보공개 권고안(기후변화 관련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을 발표(‘17)

 

  • (ESG 활성화) 민간 측면에서는 글로벌 투자기관들이 ESG 관점 투자 선언*을 통해 기업들이 ESG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협·단체 차원의 민간 이니셔티브**가 결성되어 ESG에 자발적으로 대응하는 등 ESG 활성화 논의 확대

 

반응형

   - 미국의 BRT(Business Roundtable)은 2019년 8월 연례회의에서 기업의 주주 우선원칙을 폐지하고 모든 이해관계자 가치가 통합된 새로운 ‘기업의 목적(Purpose of a Corporation)’을 선언
   - 산업 및 기업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결성된 글로벌 민간 이니셔티브는 산업계가 공통으로 요구 받는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해당 이니셔티브에 참여한 개별 기업에게 ESG 성과 창출 및 리스크 관리를 요구(전자, 자동차, ICT, 화학, 섬유 등 산업에서 ESG 리스크 완화와 성과창출을 위한 이니셔티브를 운영 중)

 

  • (ESG 경영 내재화) ESG가 기업의 중요한 가치로 부각되면서 경영시스템 전반에서의 ESG 내재화를 위한 기업들의 대응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자문/컨설팅/평가하는 서비스 시장이 등장 전 세계에 600여개 이상의 서비스 기관이 ESG 평가 및 자문역할 수행(Sustainability, 20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