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의 압축공기 소비량에 따라 부하, 무부하 운전을 주기적으로 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 변동이 P1 ~ P2 사이에 있게 되며 대부분의 압축기는 그 차이가 1bar로 Setting 되어 있음
- 무 부하운전 상태에서는 압축공기 생산을 중단하기는 하지만 공기압축기의 윤할 작용을 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압력(약 4 ~ 5bar)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기 압축기 내부적으로는 공기를 압축하고, 필요 이상의 압축공기는 대기로 방출 또는 재흡입하여 최소한의 부하운전 수행.
- “무부하운전”이라는 말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동력을 소비하고 있는 셈이고, 그 소비 동력은 제어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전 부하 운전 시 소비 동력대비 약 60 ~ 80% 내외로 볼 수 있다.
2) 제어시스템 개념도 및 절감 알고리즘
□ 개선방향
- 보유하고 있는 공기압축기를 전량 인버터형 공기압축기로 교체하는 것이 현실에 맞지 않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상한 것이 “최적 운동 자동제어 시스템”
- 1~2대의 인버터형 공기압축기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인버터형 공기압축기와 일반 공기압축기를 연동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유량과 압력을 유지하면서 최적 운전 수행
3) 기대효과 및 도입 제어시스템
반응형
냉동기 배관 단일화 액츄에이터 제어
경기 소재 플라스틱 가공기업
냉동기 액츄에이터 제어를 통한 전력비용 절감
1) 현황 및 문제점
- 실외기(냉동기)에서 제조된 냉수가 냉수탱크를 거쳐 공정에 공급
- 실외기(냉동기)와냉수탱크를 순환하는 펌프의 동력손실
2) 사업 개념도 및 개선방향
- 실외기에서 냉수탱크를 거치지 않고 공정으로 바로 공급하는 배관을 신설하여 냉수시스템 단일화 및 시스템효율 향상
- 냉수순환펌프를 가동중지 하여 전력 절감
- 자동 컨트롤 액추에이터 밸브 설치 및비례제어밸브 설치
-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압력이 4kg/cm2이상으로 최소압력 설정으로 PIC Control
3) 에너지 절감 기대효과
천정 LED 조도 자동 디밍
경기 소재 열처리 업체
조명(LED) 자동 디밍을 통한 전력비용 절감
1) 현황 및 문제점
- 90W, 140개 등이 100% 밝기로 광량에 관계없이 24시간 동작
- 낮시간동안 천정의 채광창의 광량이 풍부하여 LED 디밍에 의한 밝기 조절로 에너지절감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