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동향/국내

자동차 업종 온실가스 배출공정 및 시설 분석

기후변화대응 전문 컨설턴트 2022. 9. 25. 14:13
728x90
반응형
개요

 

  • 목표관리제의 자동차 업종  

  -  2020년도 제도이행 기준 목표관리제의 비철금속 업종은 표준산업분류(KSIC) 중분류 기준, 24-1차  제조업, 27-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30-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해당한다.

 

  • 자동차 업종의 특성

  -  국내 자동차 산업은 2~3만여 개의 부품으로 조립되는 대표적인 종합산업으로, 소재산업과 자동차 산업을 전후방으로 하여 폭넓은 연관효과를 유발시키는 산업이자 주변 산업의 기술적 성과를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는 산업구조 고도화 산업이다.
- 소재·석유화학·전자·기계분야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발전하고 있으며, 유통단계 및 이용단계에는 금융·보험업, 자동차 판매업, 광고업, 중고차 매매업, 운송업, 정비업, 유류판매업, 건설업 등과 폭넓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 자동차 업종 공정 분류

 - 자동차 업종의 공정은 크게 주조, 단조, 성형가공, 기계가공, 표면처리로 분류 된다. 이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에 참여 중인 업체의 명세서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해 보았을 때, 사업장과 상품의 특성으로 인해 공정 순서와 구성은 상이 했으며, 같은 공정 내에서도 시설의 구성, 용량, 연료와 원료 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자동차 업종 목표관리업체 추이

- 온실가스·에너지 명세서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2020년에 자동차 업종에 해당하는 업체는 28개 업체였으며, 총 목표관리제 이행 업체 중 8.16%를 차지하고 있다.

 

  • 자동차 업종 내 세부 업종 배출 현황

 - 2020년 기준 자동차 업종 내에서 배출량의 상위를 차지하는 세부 업종을 살펴보면, ‘그 외 자동차용 신품 부품 제조업’이 35%, ‘자동차 엔진용 신품 부품 제조업’이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표준산업분류(KSIC) 중분류 기준, ‘30-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이 94%로 대부분의 배출량을 가지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현황
  • 자동차 업종 총 온실가스 배출량 변동 추이

 - 자동차 업종의 총 배출량과 업체 평균 배출량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 2020년도 자동차 업종 주요 배출 활동

- 자동차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 중 82.54%는 외부전기, 14.98%는 고정연소로 97% 이상이 생산공정에 활용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공정별 온실가스 배출

 

  • 주조 공정

- 주조는 재료(주로 철, 알루미늄 합금, 구리, 황동 등의 금속)를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여 액체로 만들어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가공 방법이다.

 

 

- 주조 공정의 세부 공정들은 기본적으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며, 용해, 보온과 같은 고온의 ‘로시설’에서는 LNG도 사용한다. 

 

 

  • 단조 공정

- 단조란 소성 가공의 일종으로 해머 등으로 금속 가공물을 두드려 원하는 형태로 성형하는 공정을 말한다. 주조나 분말 야금에 의한 가공보다 소재의 인성이 강해진다.

 

- 단조 공정은 대부분의 시설에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며, 높은 온도가 필요한 가열공정 시설에서는 LNG를 사용하기도 한다. 

 

  • 성형 공정

-  압연, 압출, 인발 등이 해당되며, 금속을 모양과 형태를 변형시켜 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 성형공정의 주요 세부 공정으로는 성형과 기계가공이 있으며 대표적인 배출 시설은 성형시설, 연마시설 등이 있으며 주요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사용한다. 열처리와 건조에서는 LNG를 사용하기도 한다.

 

반응형
  • 기계 가공 공정

- 기계 가공이란, 기계 장비로 금속의 모양, 크기 또는 성능을 변경하는 과정을 말하며, 드릴링, 터닝, 보링, 밀링, 연삭 등이 해당된다.

- 기계로 가공하는 공정의 특성상 설비 대부분이 전기로 구동되며, 타 공정들과 마찬가지로 건조시설에서는 LNG를 사용하기도 한다. 

 

  • 표면 처리 공정

- 표면처리 공정은 크게 도장과 도금을 들 수 있다.
- 도금은 부식방지 및 전기의 전도성이 필요하거나 조립되어 구동되는 부품에 적용하며, 종류로는 아노다이징, 크로메이트 등이 있다.
- 도장이란, 일반적으로 판금의 최종공정을 말하며 부식방지 뿐만아니라 상품에  따라 색상을 입히기도 하여 마감재나 외장품에 이용된다.

 

- 표면처리 공정은 모두 전기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도장, 도금, 건조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제품의 이동과 공정 진행을 위한 에너지 사용으로 이루어 진다. 

 


온실가스 감축
  • 목표관리제 이행 중인 업체 중 기계업종 감축기술 적용 현황

-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집계된 누적업체수는 24업체이며, 5개년 간 실시한 총 온실가스 감축 이행건수는 208회 이였다. 
- 자동차 업종 내에서 이행된 감축수단 종류는 55개이고 그 중 기술개선 유형은 24개이며, 기술개선 유형 중 빈도수가 많은 상위 10개 감축기술은 다음과 같다.

 

- 2015년∼2020년 목표관리제 이행 중인 업체가 도입한 감축기술을 조사한 결과, 자동차 업종의 감축기술은‘고효율기기’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동차 업종의 적용 가능 감축 기술(종합)

- 이행실적 DB 등을 통해 도출된 감축기술을 조사한 결과 4개의 감축기술을 도출할 수 있었고, 감축기술 별 세부기술 및 설비, 적용가능 설비는 다음과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