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철강 업종의 범위
-1차 철강제조업(241), 제철, 제강 및 합금철제조업(2411),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2412), 철강관 제조업(2413), 기타 1차 철강 제조업(2419)
- 목표관리제의 철강 업종의 정의
- 2020년도 제도이행 기준 목표관리제의 철강 업종은 표준산업분류(KSIC) 중분류 기준, 24-1차 금속 제조업, 25-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이 해당한다.
- 철강 업종의 특성
- 금속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철강 산업은 자동차, 조선, 기계, 건설 및 방위산업을 비롯한 전 산업에 기초 소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 원자재(철광석, 철 스크랩 등)를 이용하여 봉, 형강, 판재, 강관 등의 철강제품을 생산하는 산업 활동을 의미하며, 제철 및 제강업,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철강관 제조업, 표면처리 및 절단제품 제조업 등을 포함하고 있는 산업이다.
- 철강 업종 공정 분류
- 철강 업종의 공정은 소결, 코크스, 고로, 제강, 압연/압출 등 으로 분류 된다. 이를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에 참여 중인 업체의 명세서 데이터를 기준으로 확인해 보았을 때, 사업장과 상품의 특성으로 인해 공정 순서와 구성은 상이 했으며, 같은 공정 내에서도 시설의 구성, 용량, 연료와 원료 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철강 업종 목표관리업체 추이
- 온실가스·에너지 명세서 데이터를 확인한 결과, 2020년에 철강 업종에 해당하는 업체는 22개 업체였으며, 총 목표관리제 이행 업체 중 6.41%를 차지하고 있다.
- 철강 업종 내 세부 업종 배출 현황
- 2020년 기준 기계 업종 내에서 배출량의 상위를 차지하는 세부 업종을 살펴보면, ‘선철 주물 주조업’이 38%, ‘철강선 제조업’이 16%, ‘강 주물 주조업 ’이 13%를 차지하고 있으며, 표준산업분류(KSIC) 중분류 기준, ‘24-1차 금속 제조업’이 85%, ‘25-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이 15%의 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현황
- 철강 업종 총 온실가스 배출량 변동 추이
-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철강 업종의 총 배출량과 업체 평균 배출량은 감소 추세에 있다.
- 2020년도 철강 업종 주요 배출 활동
- 철강 업종의 온실가스 배출은 ‘외부전기’가 71.58%, ‘고정연소’가 18.87%로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생산 공정에 대부분의 에너지가 사용되는 업종의 배출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공정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 소결 공정
- 소결(Sintering)이란 분말과 같은 비표면적이 넓은 입자들을 더욱 치밀한 덩어리를 만들기 위해 충분한 온도와 압력을 가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 코크스 공정
- '코크스 공정'은 원료탄을 코크스로에 넣고 1,000~1,300℃의 고온으로 장시간 구워 '제선 공정'에 투입할 코크스를 만드는 과정이다.
- 고로 공정
- 고로 공정은 뜨거운 용광로에 철광석을 녹여서 만드는 공정이다.
- 소성 공정의 세부 공정들은 기본적으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며, 예열, 소성과 같은 고온의 ‘로시설’에서는 LNG도 사용한다.
- 순산소 제강 및 주조 공정
- 고로의 용융된 철과 고철에 순산소를 불어넣는 제강법이다.
- 전기아크로 제강 및 주조
- 전기가 발생하는 열로 금속을 녹여 정련하는 로를 사용하는 공정이다.
- 열간 압연/압출 공정
- 금속을 세공하는 과정에서 재료를 가열하고 회전하는 두 원통 사이로 들어가게 만들어 재료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공정이다.
- 냉간 압연/압출 공정
- 금속을 세공하는 과정에서 상온에서 냉간 처리 후, 회전하는 두 원통 사이로 들어가게 만들어 재료의 모습을 변화시키는 공정이다.
온실가스 감축
- 목표관리제 이행 중인 업체 중 철강 업종 감축기술 적용 현황
-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집계된 누적업체수는 17개업체이며, 5개년 간 실시한 총 온실가스 감축 이행건수는 129회이다.
- 철강 업종 내에서 이행된 감축수단 종류는 36개이고 그 중 기술개선 유형은 13개이며, 기술개선 유형 중 빈도수가 많은 상위 10개 감축기술은 다음과 같다.
- 2015년∼2020년 목표관리제 이행 중인 업체가 도입한 감축기술을 조사한 결과, 철강 업종의 감축기술은 대다수가 ‘고효율기기’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철강 업종 감축기술 도입 현황
- 2015년∼2021년까지 업체가 도입한 감축기술을 조사한 결과, 에너지사용량 5천 TOE 이하 및 에너지사용량 5천~1만TOE이하의 업체에서 쓰이는 감축기술은 ‘고효율 기기’가 가장 많았다.
-5천 toe 이하 업체의 감축기술 이용현황
-5천 toe ~ 1만 toe 이하 업체의 감축기술 이용현황
- 5천 TOE 이하의 에너지사용량을 가진 업체가 도입한 감축기술 중 감축량이 큰 순서대로 나타냈을 때,‘자동제어시스템 도입’,‘부속장치교체 및 보완’과 ‘폐수열 회수’순이었고, 감축량이 가장 큰 감축기술인‘자동제어시스템 도입’을 설비별로 분류했을 때 두 개의 설비만을 적용(열사용설비, 로) 하였다.
- 5천∼1만 TOE 이하의 에너지사용량을 가진 업체가 도입한 감축기술 중 감축량이 큰 순서대로 나타냈을 때,‘부속장치교체 및 보완’,‘배공기열회수’과 ‘노후설비대체’순이었고, 감축량이 가장 큰 감축기술인‘부속장치교체 및 보완’을 설비별로 분류했을 때 공기압축기 설비, 펌프설비, 공조기설비 등이 적용되었다.
- 설비별 감축기술 분류(5천 TOE 이하)
- 설비별 감축기술 분류(5천~1만 TOE 이하)
- 철강 업종의 적용 가능 감축 기술
- 이행실적DB 등을 통해 도출된 감축기술을 조사한 결과 5개의 감축기술을 도출할 수 있었고, 감축기술 별 세부기술 및 설비, 적용가능 설비는 다음과 같다.
'기후변화 동향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리·요업 업종 온실가스 배출공정 및 시설 분석 (2) | 2022.09.21 |
---|---|
조선업종 온실가스 배출공정 및 시설 분석 (1) | 2022.09.20 |
시멘트 업종 온실가스 배출공정 및 시설 분석 (1) | 2022.09.18 |
음식료품 업종 온실가스 배출공정 및 시설 분석 (0) | 2022.09.17 |
기계업종 온실가스 배출 공정 및 시설 분석 (1)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