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온실가스관리 기사 산업기사

기후변화 개론 적중 예상 문제(1)

기후변화대응 전문 컨설턴트 2022. 11. 12. 06:32
728x90
반응형

1. 다음중  유엔기후변화 협약이 정식 발효된 해는 언제인가? =>3

 1) 1987년

 2) 1992년

 3) 1994년

 4) 2005년

 

2. 다음중 유엔기후변화 협약의 주요 목적으로 알맞는 것은? =>2

 1)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경제적 보상

 2) 기후변화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3)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

 4) 선진국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 지원

 

3.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기본 원칙으로 틀린것은? =>3

 1) 공동의 차별화된 책임 및 부담(선진국의 선도적 역할)

 2) 개도국의 특수사정 배려(기후변화 악영향이 큰 국가 등)

 3)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성장 보장

 4) 기후변화의 예방적 조치 시행(과학적 불확실성의 극복 필요)

 

4.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공통의무 사항으로 알맞은 것은? =>1

 1)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국가 보고서 작성 및 제출

 2) 90년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 규정

 3) 개발도상국에 대해 재정 및 기술이전의 의무 부담

 4) 모든 국가의 지속가능한 성장 보장

 

5. 유엔기후변화협약의 특정의무사항 중 Annex I  국가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몇년 수준으로 해야 하는가? =>1

 1) 1990년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

 2) 1995년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

 3) 2000년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

 4) 2005년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

 

6. 유엔기후변화협약의 특정의무사항 중 Annex II 국가의 의무사항으로 알맞은 것은? =>4

 1) 모든 국가의 지속가능한 성장 보장

 2)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국가 보고서 작성 및 제출

 3)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국가 전략 수립

 4) 개발도상국에 대해 재정 및 기술이전의 의무 부담

 

7.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가 설립된 연도는? =>2

 1) 1992년

 2) 1998년

 3) 2001년

 4) 2002년

 

8. 다음중 IPCC 설립 목적으로 알맞은 것은? =>3

 1) 기후변화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2) 개발도상국에 대해 재정 및 기술이전의 의무 부담 

 3) 각국의 과학자 및 기술 경제 정책론자들이 모여 기후변화에 관한 유용한 과학정보를 평가

 4)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국가보고서 작성 및 제출

 

9. 브라질 리우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채택한 유엔환경개발 회의는 몇 년도 인가? =>1

 1) 1992년

 2) 1974년

 3) 1998년

 4) 1999년

 

반응형

10. 1995년 제1회 당사국총회(COP)는 어느나라에서 개최되었는가? =>2

 1) 독일

 2) 스위스

 3) 영국

 4) 일본

 

11. 기후변화 협약 추진 경과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2

 1) 기후변화협약은 국가별 구체적인 온실가스 배출허용량을 규정하지는 않는다.

 2) 교토의정서는 국가별 구체적인 온실가스 배출허용량을 규정한다.

 3) 교토의정서에 비준한 대표적인 국가는 유럽연합, 미국, 일본 등이다.

 4) 교통의정서의 1차 의무이행기간은 2008년~2012년이다.

 

12. 최근 국제기후변화 협상에서 합의된 2도씨 목표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4

 1) 산업화 시대 이전 대비 지구 평균 표면 온도를 2도씨 이상 올리지 말아야 한다는 합의

 2) 지구 평균 표면 온도를 2도씨 수준으로 맞추기 위한 대기 중 평균 CO2 농도는 450PPM 이하 이다

 3) 지구 평균 표면 온도가 3도씨 수준 이상으로 오를 경우 자연이 자발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

 4) 2011년 칸쿤회의에서 2도씨 목표는 미국, 일본의 반대로 합의되지 못했다.

 

13. 대한민국의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국제적 입장에 대해서 틀린 것은? =>3

 1) 대한민국은 교토의정서 1차 의무 이행기간에 비준한 국가이며, OECD 국가로서 의무적인 감축국인 Annex I 국가에 해당한다.

 2) 대한민국은 교토의정서 1차 의무이행기간에 비준하였으나 개발도상국가로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적인 의무를 갖지 않는다.

 3) 대한민국은 2020년 부터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적인 의무를 지닌다.

 4) 대한민국은 2015년부터 배출권거래제도를 시행하였다.

 

14. 교토의정서가 발효된 해는? =>2

 1) 1997년

 2) 2005년

 3) 2007년

 4) 199년

 

15. 교토의정서에서 규정한 온실가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 NF3

 2) CO2

 3) HFCS

 4) PFCS

 

16. 유엔기후변화 협약의 3대 기본원칙이 아닌 것은? =>1

 1) 사회통합

 2) 형평성

 3) 효율성

 4) 경제발전

 

17. 교토메커니즘의 도입 배경으로 알맞은 것은? =>3

 1) 기후변화에 관한 과학적 지식과 견해의 평가 

 2) 기상변화에 따른 환경 및 사회 경제의 영향 평가

 3) 온실가스 저감의무 달성 시 소요되는 비용 최소화

 4)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검토

 

18. 교토메커니즘에 속하지 않는 제도는? =>2

 1) 공동이행

 2) 배출권거래

 3) 자발적 감축

 4) 청정개발체계

 

1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교토메커니즘은? =>4

  설명 : 선진국이 개도국에 투자하여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1) 공동이행

 2) 배출권거래

 3) 자발적감축

 4) 청정개발체계

 

20. 다음의 국제회의 중 IPCC 설립에 관한 회의는? =>4

 1) 몬트리온 의정서

 2) 제네바협약

 3) 비엔나회의

 4) 제1차 세계기후회의

 

21. 선진국의 구체적인 감축의무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1

 1) 교토의정서

 2) 기후변화협약

 3) 당사국 총회

 4) 배출권거래

 

22. 다음의 COP 회의중 마라케쉬 합의를 채택한 회의는? =>1

 1) CO7차 모로코

 2) CO5차 독일

 3) CO13차 인도네시아

 4) CO15차 덴마크

 

23. COP13차 발리 로드맵의 주요 내용이 아닌것은? =>2

 1) IPCC의 제4차 보고서가 제시하는 목표를 감축목표로 하기로 합의

 2) 의무준수 체계 마련

 3) 산림보호 메커니즘 추가

 4) 정량적인 감축목표 설정

 

24. COP15차 코펜하겐 합의문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4

 1) 장기목표로 기온상승을 산업화 이전대비 섭씨 2도씨 이내로 억제

 2) 녹색기후기금의 새로운 관리체제 신설합의

 3) 2010년 1월까지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중기목표 제출

 4) 청정개발체제의 방식, 절차, 배출권거래의 발식, 규칙, 지침 마련

 

25. COP 16차 칸쿤합의문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1

 1) 2010년 1월까지 개도국의 자발적 감축행동 계획 제출

 2) 신규자금 설립

 3) 개도국은 2020년까지 BAU대비 NAMA 실시

 4) 기술집행위와 기후기술센터로 구성된 기술 메커니즘 설립

 

26. COP16차가 개최된 나라는 어디인가? =>2

 1) 러시아

 2) 멕시코

 3) 인도네시아

 4) 독일

 

27. 다음 중 녹색기후기금이 채택된 COP 회의로 알맞은 것은? =>3

 1) COP 14

 2) COP 15

 3) COP 16

 4) COP 17

 

28. COP 18차 도하게이트웨이 결정문의 주요 내용이 아닌것은? =>1

 1) 녹색기후기금 설립

 2) 5개 주요 쟁점사항에 대한 결정문 채택

 3) 교토의정서 개정 합의

 4) 녹색기후기금 및 기후변화 재정 관련 합의

 

29. 다음 중 기후변화의 주요내용이 아닌 것은?  => 4

 1) 각국의 의무사항, 재정지원 체제, 기술이전, 조직에 관한 사항을 규정

 2) 각국의 차별적인 공동책임 부담

 3) 협약 당사국 각 국의 보고서를 당사국회의에 제출

 4) 2010년까지 1990년 수준으로 동결

 

30. 다음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하시오. => 3-5-4-1-2

 다음)

 1)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의무 부담 문제 논의

 2) 미국의 배제한 교토의정서 체제 합의

 3) 베를릴 위임 사항 결정

 4) 교토메커니즘 채택

 5) 감축목표에 대한 법적 구속력 부여 합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