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
인도 정부는 지난 8월 3일, 모디 총리 주재로 개최된 국무회의에서 파리협정 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인 ‘국가결정기여(NDC1))’ 갱신안을 승인했다.
동 갱신안은 기존에 설정했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05년 배출집약도2) 대비 33~35% 감축에서 45%로 10%p 가량 상향하고,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비화석 연료 에너지원으로부터의 누적 발전 용량을 50%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다.
모디 총리는 지난 해11월,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된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제26차당사국총회(COP26)에서 2070년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하였고,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도 상향할 것이라고 약속한 바 있다. 모디 총리는 이 때 ‘환경을 위한 생활양식(Lifestyle For Environment)’ 을 축약한 ‘LIFE’ 운동을 제안하였고, 이번 갱신안 이행에도 지구에 해를 끼치지 않는 생활양식인 ‘LIFE’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인도 정부는 아울러 NDC 갱신안 이행을 위한 청정에너지 전환 프레임워크(’21~’30)도 발표했다. 동 프레임워크는 재생에너지 생산 및 채택 촉진을 위한 ‘생산 연계 인센티브’와 같은 세금 감면 및 인센티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산업, △전기차, △고효율 전자제품 등 관련 제조업에서의 녹색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인도 정부는 자국 NDC 이행을 위해서는 선진국의 재정 지원이 필요함4)을 언급함과 동시에 동 감축 목표는 국가 총 배출량에 대한 것으로 특정 부문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감축목표는 설정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하였다. 인도 정부는 동 NDC 갱신안을 올 11월 이집트에서 개최될 제27차 당사국총회(COP27)에 앞서 공식 제출할 예정이다.
한편, 인도 중앙전기청(Central Electricity Authority)은 2030년 자국 누적 발전 설치용량이 820GW에 이를 것이며, 2030 NDC 달성을 위해서는 △석탄화력 비중 33%로 축소, △태양 및 풍력 51%로 확충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